Suk(5)
-
[인간관계 심리학] 남풍 효과 South Wind Effect
따뜻함은 차가움을 이길 수 있으며, 부드러움은 강인함을 이길 수 있다. ▶ 싸우지도 않고 상대를 항복시키는 소통 방식 남풍 효과는 프랑스 작가 라퐁텐이 쓴 우화에서 비롯되었다. 차가움을 가진 북풍과 따뜻함을 가진 남풍이 누가 나그네의 외투를 벗길 수 있는 가를 두고 힘겨루기를 했다. 북풍이 먼저 실력을 발휘하였다. 씽씽 바람소리를 내자 나그네는 뼛속까지 파고드는 추위를 느꼈다. 나그네는 추위를 막기 위해 외투로 자신의 몸을 더욱 감쌌다. 이어 남풍이 나섰다. 따뜻한 바람을 솔솔 불어대자 나그네는 몸이 더워져 단추를 풀고 외투를 벗었다. 이 우화는 우리의 관계에서 타인에게 환영받고 싶다면, 서슬 퍼런 태도를 버리고 따사롭고 우호적이며 선량해야 한다는 경각심을 일깨워준다. 만약 우리가 기세등등하게 강압적인 ..
2019.09.20 -
[ 인간관계 심리학 ] 근인 효과 Cause Proximate
근인 효과는 미국의 심리학자 하인츠의 여러 실험에서 얻어진 결론으로 그중 가장 유명한 실험은 '제임스의 이미지 메이킹 실험'이다. 하인츠는 제임스에 관한 글을 두편 작성했는데, 첫번째 글은 제임스를 열정적이고 외향적인 사람으로 묘사했고, 두번째 글은 반대로 냉담하고 내향적으로 작성했다. 그리고 피실험자들에게 이 두편의 글을 네가지의 다른 방식으로 보여줬다. A조 : 첫번째 글을 보여준 뒤 두번째 글을 보여줌 B조 : 두번째 글을 보여준 뒤 첫번째 글을 보여줌 C조 : 첫번째 글만 보여줌 D조 : 두번째 글만 보여줌 그 뒤 하인츠는 각 조에게 '제임스는 어떤 사람일까?'로 질문을 했다. 그 결과 A조는 78%의 사람들이 제임스를 우호적인 인물로 판단했지만, B조에서는 18%만이 그를 우호적으로 판단했다. ..
2019.09.19 -
[인간관계] 변명과 해명 그리고 오해
"그건 변명이고", "변명할거면 그만 말해" 여러분들은 언젠가는 이런 경험이 있었을 것이다. 무언가를 실수하고 이런 과정들을 설명하는 것은 듣는 사람에게 있어서 변명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면 변명과 해명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사소한 문제라면 그냥 넘어가는 게 살기에 편한 방법이겠지만 그렇게 넘어갈 문제가 아니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싸움이 벌어지는 원인 대부분은 오해 때문이라는 사실을 명심해라" - 골던 딘- 왜? 보통의 사람들은 무언가 일이 잘못되거나 오해를 받게 되면 해명부터 하려고 한다. '이 부분을 잘못 알고 있는 것 같은데 사실은 이게 아니라 이렇다.' 그러나 듣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그렇지 않다. 만약 당신이 어느 기업의 CEO라고 가정해보자. 직원에게 충분히 기간내에 마칠수 있는 일을 맡겼는데..
2019.06.29 -
[ 인관관계 심리학 ] 초두효과, Primacy Effect
초두효과 Primacy Effect초면에 상대방에게 남기는 첫 인상은 뇌리에 각인되어 관계에서 줄곧 주도적인 위치를 점하는데 이를 '초두효과' 라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말합니다. 처음만난 자리에서 첫 인상은 10분안에 결정된다고. 저는 모든 사람의 인상은 1분 안에 결정된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0.25초에서 4초 사이에 가장 강렬한 인상을 남깁니다. 이 짧은 시간동안 상대에 대해 75% 이상의 판단과 평가가 이루어진다는 심리학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인상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한 가지의 연구를 볼까요? 한 심리학자가 비교적 쉬운 30개 문제를 준비한 후 두 명의 학생 중 A학생에게는 앞쪽의 15개의 문항을 B학생에게는 뒤쪽의 15개의 문항을 풀게 하였다. 그러고 나서 두사람의 답안지를 다른 학생..
2018.11.21 -
User Experience (UX) 란 무엇인가?
User Experience (UX)란 무엇인가?UX는 쉽게 말해서 상대에게 어떤 행동을 통해서 무언가를 보여주었을 때 상대방이 어떤 경험을 하고, 어떻게 느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한 총제적인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한 가지 예를 들어봅시다. 한 건축가가 집을 예쁘게 지었습니다. 내부를 예쁘게 꾸미고, 방 문도 예쁘게 색칠하고 창문도 예쁘게 색을 넣었습니다. 그렇지만 이 집에서 사는 사람들이 무엇 때문인지 불편하게 느끼고 살아간다면 UX가 떨어지는 것입니다. 한 목수가 자신이 살 집을 지었습니다. 자신이 사용할 공간을 만들고 터를 잡고 힘들겠지만 집을 완성했습니다. 겉으로는 허름해보입니다. 그렇지만 목수의 가족들은 집을 편하고 행복하게 느낀다면 UX가 좋은 것입니다. 사용자가 느끼기에 불편하면 UX가 떨..
2018.11.21